중간_배너.jpg


목통증은 나쁜 자세와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쁜자세와 생활속 나쁜습관들로 인해 목 근육이 과도한 긴장을 하거나 무리하게 되면 근육 및 관절, 신경등을 자격하여 통증이 발생되게 됩니다. 이로인해 질환이 발생되게 되는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추간판탈출증, 후관절증후군, 편타손상, 경부기장 및 염좌 등이 있습니다.



01. 경추 추간판 탈출증(Cervical Disc Herniation) = 목디스크

1._목디스크_(예비)_.jpg
경추 추간판 탈출증, 흔히 목디스크라고 불리는 이 질환은 목뼈(경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가 탈출하거나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상태입니다. 디스크는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는 쿠션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디스크가 손상되거나 돌출되면 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이는 목뿐만 아니라 어깨, 팔, 손까지 통증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의 주요 증상]
- 목 통증: 목을 움직일 때 더 심해지며, 날카로운 통증이나 뻣뻣함이 느껴집니다. 
- 어깨와 팔로 퍼지는 통증: 디스크가 특정 신경을 압박하면 통증이 어깨와 팔, 심지어 손가락 끝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 
- 저림 및 감각 이상: 팔과 손에서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근력 약화: 팔과 손의 힘이 약해져 물건을 드는 것이 어려워지거나 떨어뜨리기 쉽습니다.
- 운동 제한: 목을 돌리거나 움직일 때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목디스크의 주요 원인]
-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가 탈수되고 탄력을 잃어 손상되기 쉽습니다.
- 잘못된 자세: 장시간 고개를 숙이거나 구부정한 자세로 컴퓨터,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경추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집니다.
- 외상 및 무리한 동작: 교통사고, 낙상, 또는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디스크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스트레스: 직업상 반복적으로 목과 어깨를 사용하는 경우(예: 운전, 사무직 등)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근력 부족 및 체력 저하: 목 주변 근육이 약하거나 운동 부족으로 인해 척추의 안정성이 떨어질 경우 위험이 커집니다.
02. 후관절 증후군 (Facet Joint Syndrome)

2._후관절_증후군_.jpg
​후관절 부위의 퇴행 관절염이나 염좌, 분절 불안정 등에 의해 후관절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이 염증에 의해 자극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후관절은 체중 부하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목이나 허리를 숙이거나 젖힐 때 척추관절을 안정화하고 몸을 비트는 동작을 할 때 과도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작용하는 관절입니다.

[후관절 증후군의 일반적인 증상]
-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아픈 쪽으로 몸을 회전시킬 때 통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허리가 불편하지만 일어나서 몸을 움직이면 통증이 줄어든다.
- 대체로 몸을 뒤로 젖힐 때 불편함을 느낀다.
- 급성기의 후관절 통증은 간헐적이고 예측할 수 없으며 1개월 혹은 1년에 몇 번씩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 대부분의 환자들은 염증이 생긴 후관절 부위에 국소적 압통을 호소하며 척추 주변 근육의 긴장을 호소한다.
- 경추의 후관절 문제는 어깨나 등 부위 주변에서 방사통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팔이나 손가락으로는 방사통이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경추추간판탈출증과 구분되는 특징이다.

경추는 움직임이 많은 구조물로 후방 지지 역할을 하는 후관절의 손상 및 퇴행성 변화는 쉽게 관찰되게 됩니다.

환자는 어깨에 무거운 물건을 지고 있거나 무엇인가 올라타고 있다는 듯한  증상을 호소합니다. 침범되는 부위에 따라 뒷목부터 날개뼈, 어깨 등 다양한 부위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후관절을 지배하는 후지 내측지(medial branch) 신경주사를 통하여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시행됩니다.
03. 편타손상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WAD)


편타손상_이미지.webp
편타 손상(Whiplash Injury)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머리와 목이 갑작스럽게 앞뒤로 과도하게 움직이며 발생하는 목 부위의 손상을 말합니다. 흔히 교통사고(특히 후방 추돌)나 스포츠 부상으로 발생하며, 목뼈(경추)와 주변의 근육, 인대, 디스크, 신경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편타 손상의 주요 증상]

- 목 통증 및 경직
① 목 부위의 통증과 뻣뻣함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② 머리를 돌리거나 움직이는 것이 어렵고, 통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두통: 목과 머리 연결 부위에서 시작되는 긴장성 두통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어깨 및 등 상부 통증: 목의 긴장으로 인해 어깨와 등의 상부로 통증이 퍼질 수 있습니다.
- 저림 및 감각 이상: 신경이 영향을 받으면 팔이나 손에서 저림, 감각 저하, 약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어지럼증 및 피로감: 드물게 어지럼증, 이명, 피로감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04. 경부긴장 및 염좌 (Cervical Strain and Sprain)


4._경부긴장_및_염좌_.jpg
경부 긴장 및 염좌는 목 부위의 근육(긴장) 또는 인대(염좌)에 손상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충격, 잘못된 자세, 반복적인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목의 통증과 경직, 움직임 제한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비교적 흔한 목 부위의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대부분 회복이 가능합니다.

[경부 긴장과 염좌의 차이]

경부 긴장(Strain)
▶ 목의 근육과 힘줄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찢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 주로 반복적인 사용이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합니다.

경부 염좌(Sprain)
▶ 목의 인대(뼈와 뼈를 연결하는 조직)가 손상된 상태입니다.
▶ 주로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
- 목 통증: 근육이나 인대 손상 부위에서 둔한 통증이 느껴지며, 움직일 때 악화됩니다.
- 경직 및 뻣뻣함: 목을 돌리거나 움직이는 것이 어려워지며,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 두통: 목 긴장으로 인해 후두부에서 시작되는 두통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어깨 및 상부 등 통증: 통증이 목에서 어깨와 상부 등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 압통: 손상된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05. 경추성 두통 (Cervicogenic Headache)


5._경추성두통_.jpg
경추성 두통은 목(경추) 부위의 구조적 문제 또는 신경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입니다. 주로 목에서 시작되어 머리 뒤쪽, 관자놀이, 이마 부위까지 통증이 퍼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일반적인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과는 다르게, 경추의 이상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적절한 진단과 치료로 증상을 완화하고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경추성 두통의 주요 증상]
- 목에서 시작되는 두통: 목 뒤쪽에서 시작되어 후두부, 관자놀이, 이마로 퍼지는 통증이 특징입니다.
- 두통과 함께 목 통증: 목 부위의 뻣뻣함과 통증이 동반되며, 목을 움직일 때 통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한쪽으로 치우친 통증: 대부분 두통이 한쪽에 국한되며, 일정한 부위에서 시작됩니다.
- 운동 시 악화: 목을 돌리거나 뒤로 젖힐 때 두통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두피 및 얼굴 부위 압통: 통증 부위의 민감도가 증가하고, 눌렀을 때 불편함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경추 구조의 문제
① 경추의 관절(특히 C2~C3 후관절)의 기능 장애.
② 디스크 손상 또는 경추 퇴행성 변화.

- 근육과 인대 긴장: 목과 어깨 근육의 과도한 긴장 또는 염좌로 인한 통증.
- 신경 압박: 신경근이 압박을 받아 통증이 목에서 머리로 퍼짐.
- 자세 불균형: 장시간 구부정한 자세(스마트폰, 컴퓨터 사용)로 인해 경추에 부담이 증가.
- 외상: 교통사고, 낙상 등으로 인한 편타 손상(Whiplash Injury)으로 발생 가능.
질환_공통하단배너.jpg